독거노인 종합지원센터 배움터 바로가기 안내입니다. 독거노인 배움터는 노인돌봄을 제공하는 종사자들의 교육을 제공하는 사이트로 정식명칭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배움터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독거노인 종합지원센터 배움터 바로가기 :
https://edu.1661-2129.or.kr/main/index.jsp
이용방법
1. 홈페이지 접속 후 우측 상단의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하세요.
2. 개인정보 수집에 모두 동의 후 동의합니다 버튼을 클릭하세요.
3. 실명인증을 위해 휴대전화 본인인증을 완료하세요.
4. 아이디, 비밀번호, 직군, 소속기관등을 모두 입력하신 후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하세요.
5. 교육신청을 위해 상단메뉴중 교육신청>교육종류를 선택하여 원하는 교육을 수강하세요.
종사자 직무교육
직무교육은 전담사회복지사와 생활지원사의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업무 수행을 위한 교육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이라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입니다.
교육기간 : 2023. 1. ~ 2023. 12.
교육대상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
교육기관 :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
교육방법 : 종사자 개별 온라인 교육
교육구분 :
- (신규자 과정) 2022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직무교육 미이수자
- (경력자 과정) 2022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직무교육 이수자
전담사회복지사 직무교육 과정
1. 일반 및 중점 신규자 과정
구분 | 주제 | 과목명 | 교육내용 | 교육차시 | |
기초교육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복지정책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사업방향 및 지침 변경사항 안내 |
2차시 | |
노인맞춤돌봄시스템 안내 | 1차시 |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관리의 이해와 실제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 및 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 4차시 | |||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개입과 제공실무 | 대상자 발굴・의뢰, 라포형성 등 지역 내 네트워킹 구축 및 관리 방안 |
3차시 | |||
종사자의 자세
|
사회복지 실천윤리 | 인권을 기반한 사회복지 윤리실천의 의미 현장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쟁점 이해 |
2차시 | ||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 돌봄서비스 제공인력의 인권보호 필요성 위기상황별 대처방안 회복을 돕기 위한 동료와 조직의 역할 |
4차시 | |||
소계 | 16차시 | ||||
심화교육
|
노인돌봄의 이해
|
노인돌봄 지식 | 신체적・정신적 노화에 대한 이해 | 2차시 | |
노인돌봄 기술 | 돌봄서비스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 등 | 2차시 | |||
고위험 노인관리
|
자살예방 | 노인 자살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이수로 갈음 |
2차시 | ||
학대예방 | 노인 학대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실제 관리 등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
2차시 | |||
치매예방 | 노인 치매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2차시 | |||
노인상담과 사례관리의 이해
|
노인상담의 이해와 실제(심화) | 노인 상담의 기본원칙과 방법 상담기법(경청, 나-전달법 등) |
5차시 | ||
사례관리의 실제 | 일반 및 중점 대상자에 대한 사례관리의 이해 | 4차시 | |||
프로그램의 이해
|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 노인복지 및 (집단)프로그램의 이해 (집단)프로그램 지도법 |
4차시 | ||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 연계 가능한 공공복지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
2차시 | |||
ICT돌봄 | 스마트 돌봄 | 스마트 돌봄의 이해와 실제 스마트 돌봄 사례(공공 및 민간) 이해 |
4차시 | ||
소계 | 29차시 |
2. 일반 및 중점 경력자 과정 : 총 27차시
구분 | 주제 | 과목명 | 교육내용 | 교육차시 |
기초교육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복지정책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사업방향 및 지침 변경사항 안내 |
2차시 |
노인맞춤돌봄시스템 안내 | 1차시 |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관리의 이해와 실제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 및 서비스 제공절차의 이해 | 4차시 | ||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개입과 제공실무 | 대상자 발굴・의뢰, 라포형성 등 지역 내 네트워킹 구축 및 관리 방안 |
3차시 | ||
종사자의 자세
|
사회복지 실천윤리 | 인권을 기반한 사회복지 윤리실천의 의미 현장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쟁점 이해 |
2차시 | |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 돌봄서비스 제공인력의 인권보호 필요성 위기상황별 대처방안 회복을 돕기 위한 동료와 조직의 역할 |
4차시 | ||
소계 | 16차시 | |||
심화교육
|
노인복지와 노인돌봄의 이해
|
노인복지의 이해 | 현대사회와 사회복지 노인복지 정책과 서비스, 전달체계의 이해 |
5차시 |
노인돌봄 지식 | 신체적・정신적 노화에 대한 이해 | 2차시 | ||
노인돌봄 기술 | 돌봄서비스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 등 | 2차시 | ||
고위험 노인관리
|
자살예방 | 노인 자살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이수로 갈음 |
2차시 | |
학대예방 | 노인 학대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실제 관리 등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
2차시 | ||
치매예방 | 노인 치매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2차시 | ||
노인상담의 이해
|
노인상담의 이해와 실제(심화) | 노인 상담의 기본원칙과 방법 상담기법(경청, 나-전달법 등) |
5차시 | |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의 이해 | 문제중심과 해결중심의 이해 강점관점 상담방법 (협력, 초첨바꾸기 등) |
7차시 | ||
교류분석 상담의 이해 | 교류분석 상담 이론의 이해 교류분석 상담기법을 활용한 돌봄서비스 상담의 실제 |
5차시 | ||
노인 사례관리의 이해
|
사례관리의 실제 | 일반 및 중점 대상자에 대한 사례관리의 이해 | 4차시 | |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 정신건강(우울, 자살 등)에 대한 이해 고위험 노인 사례에 대한 개입 방법 |
4차시 | ||
프로그램 및 ICT돌봄
|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 노인복지 및 (집단) 프로그램의 이해 (집단)프로그램 계획의 필요성, 과정과 실제 |
4차시 | |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법 노인맞춤돌봄서비스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
4차시 | ||
스마트 돌봄 | 스마트 돌봄의 이해와 실제 - 스마트 돌봄 사례(공공 및 민간) 이해 |
4차시 | ||
조직관리 | 조직관리의 기술 | 조직구성원 간의 원만한 관계형성 방법 | 3차시 | |
전체 과목 중 11차시 이상 수강 |
3. 특화서비스 신규자 과정
구분 | 주제 | 과목명 | 교육내용 | 교육차시 | |
기초교육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복지정책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사업방향 및 지침 변경사항 안내 |
2차시 | |
노인맞춤돌봄시스템 안내 | 1차시 | ||||
특화서비스의 이해
|
노인맞춤 돌봄서비스와 특화서비스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특화서비스 사업방향 및 지침 변경사항 안내 | 1차시 | ||
특화서비스 집단별 접근방법 | 은둔형 및 자살위험 노인에 대한 이해 집단별 접근방법 및 주요 서비스 |
2차시 | |||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와 인지기능 저하의 이해 | 노년기 정신건강 및 인지기능의 이해 고위험 사례로 살펴보는 정신건강 |
4차시 | |||
사례관리의 실제 | 사례관리의 이해와 단계별 핵심 과업 특화서비스 사례를 활용한 사례관리 |
4차시 | |||
특화서비스 집단프로그램의 실제 | 집단 대상 실천과 기획에 대한 이해 집단 발달 단계별 과업에 대한 이해 |
2차시 | |||
특화서비스 행정실무 | 특화서비스 주요서식 작성법 | 2차시 | |||
종사자의 자세
|
사회복지 실천윤리 | 인권을 기반한 사회복지 윤리실천의 의미 현장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쟁점 이해 |
2차시 | ||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 돌봄서비스 제공인력의 인권보호 필요성 위기상황별 대처방안 회복을 돕기 위한 동료와 조직의 역할 |
4차시 | |||
소계 | 24차시 | ||||
심화교육
|
노인돌봄의 이해
|
노인돌봄 지식 | 신체적・정신적 노화에 대한 이해 | 2차시 | |
노인돌봄 기술 | 돌봄서비스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 등 | 2차시 | |||
고위험 노인관리
|
자살예방 | 노인 자살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이수로 갈음 |
2차시 | ||
학대예방 | 노인 학대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실제 관리 등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
2차시 | |||
치매예방 | 노인 치매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2차시 | |||
상담과 사례관리
|
노인상담의 이해와 실제 | 노인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노인상담의 원리 및 기법에 대한 이해 |
2차시 | ||
고위험 노인의 사례관리 | 정신건강(우울, 자살 등)에 대한 이해 고위험 노인 사례에 대한 개입 방법 |
4차시 | |||
프로그램과 자원연계
|
집단프로그램의 이해와 실제 | 노인복지 및 (집단)프로그램의 이해 (집단)프로그램 지도법 |
4차시 | ||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 연계 가능한 공공복지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
2차시 | |||
소계 | 22차시 | ||||
생활지원사 직무교육과정
1. 생활지원사 신규자 과정
구분 | 주제 | 과목명 | 교육내용 | 교육차시 |
기초교육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복지정책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사업방향 및 지침 변경사항 안내 |
2차시 |
노인맞춤돌봄시스템 안내 | 1차시 |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관리의 이해와 실제 |
대상자의 이해(욕구, 노인의 삶) 서비스 제공절차별 제공역할 연습 |
2차시 |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상담의 실제 |
대상자와의 상호작용 방법 | 1차시 | ||
종사자의 자세
|
사회복지 실천윤리 | 인권을 기반한 사회복지 윤리실천의 의미 현장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쟁점 이해 |
2차시 | |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 돌봄서비스 제공인력의 인권보호 필요성 위기상황별 대처방안 회복을 돕기 위한 동료와 조직의 역할 |
4차시 | ||
고위험 노인관리
|
자살예방 | 노인 자살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이수로 갈음 |
2차시 | |
학대예방 | 노인 학대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실제 관리 등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
2차시 | ||
치매예방 | 노인 치매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2차시 | ||
소계 | 18차시 | |||
심화교육
|
노인돌봄
|
노인돌봄 지식 | 신체적・정신적 노화에 대한 이해 | 2차시 |
노인돌봄 기술 | 돌봄서비스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 등 | 2차시 | ||
스마트 돌봄 | 스마트 돌봄의 이해와 실제 스마트 돌봄 사례(공공 및 민간) 이해 |
4차시 | ||
노인상담
|
노인의 이해와 의사소통 및 상담 | 노화에 대한 이해 노인 의사소통 및 상담의 원칙 |
2차시 | |
노인상담의 이해와 실제 | 노인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노인상담의 원리 및 기법에 대한 이해 |
2차시 | ||
사례관리 | 사례관리의 실제 | 일반 및 중점 대상자에 대한 사례관리의 이해 | 4차시 | |
자원연계 |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 연계 가능한 공공복지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
2차시 | |
소계 | 18차시 |
2. 생활지원사 경력자 과정
구분 | 주제 | 과목명 | 교육내용 | 교육차시 |
기초교육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와 실제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해
|
노인복지정책의 이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사업방향 및 지침 변경사항 안내 |
2차시 |
노인맞춤돌봄시스템 안내 | 1차시 |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관리의 이해와 실제 |
대상자의 이해(욕구, 노인의 삶) 서비스 제공절차별 제공역할 연습 |
2차시 |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상담의 실제 |
대상자와의 상호작용 방법 | 1차시 | ||
종사자의 자세
|
사회복지 실천윤리 | 인권을 기반한 사회복지 윤리실천의 의미 현장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쟁점 이해 |
2차시 | |
종사자의 인권과 안전관리 | 돌봄서비스 제공인력의 인권보호 필요성 위기상황별 대처방안 회복을 돕기 위한 동료와 조직의 역할 |
4차시 | ||
고위험 노인관리
|
자살예방 | 노인 자살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이수로 갈음 |
2차시 | |
학대예방 | 노인 학대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실제 관리 등 ※ 법정의무교육(노인학대 예방 교육) 이수 갈음 |
2차시 | ||
치매예방 | 노인 치매 징후 선별, 조치방법, 대상자 실제 관리 등 | 2차시 | ||
소계 | 18차시 | |||
심화교육
|
(A형)
노인복지와 노인돌봄의 이해 |
노인복지의 이해 | 현대사회와 사회복지 노인복지 정책과 서비스, 전달체계의 이해 |
5차시 |
노인돌봄 지식 | 신체적・정신적 노화에 대한 이해 | 2차시 | ||
노인돌봄 기술 | 돌봄서비스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 등 | 2차시 | ||
(B형)
노인상담의 이해 (상담심화) |
노인돌봄 지식 | 신체적・정신적 노화에 대한 이해 | 2차시 | |
노인상담의 이해와 실제(심화) | 노인 상담의 기본원칙과 방법 상담기법(경청, 나-전달법 등) |
5차시 | ||
노인돌봄 기술 | 돌봄서비스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 등 | 2차시 | ||
(C형)
노인상담의 이해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 |
노인상담의 이해와 실제 | 노인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노인상담의 원리 및 기법에 대한 이해 |
2차시 | |
강점관점 해결중심 상담의 이해 | 문제중심과 해결중심의 이해 강점관점 상담방법 (협력, 초첨바꾸기 등) |
5차시 | ||
노인돌봄 기술 | 돌봄서비스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 등 | 2차시 | ||
(D형)
사례관리와 자원연계 |
사례관리의 실제 | 사례관리의 이해와 단계별 핵심과업 일반 및 중점 사례를 활용한 사례관리 |
4차시 | |
지역 내 네트워킹 및 관리방안 | 지역 내 네트워킹 구축 및 관리 방안 | 1차시 | ||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 연계 가능한 공공복지의 이해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이해 |
2차시 | ||
노인돌봄 기술 | 돌봄서비스 제공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원칙 등 | 2차시 | ||
(E형)
스마트 돌봄과 조직문화 |
스마트 돌봄 | 스마트 돌봄의 이해와 실제 스마트 돌봄 사례(공공 및 민간) 이해 |
4차시 | |
소통하는 조직문화 | 직장 내 인간관계의 기술 ※ ’21년 역량강화교육 내용과 동일함 |
5차시 | ||
심화교육 A형 ~ E형 중 택 1 (9차시) |
심리·정서 지원사업
1. 종사자 소진 및 트라우마 예방 지원
-심리상담 지원 혹은 근로상담(노무 정보제공)이 필요한 종사자 대상으로 콜상담 운영
2. 안전관리 지원
-업무수행 중 안전 위헙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관리 매뉴얼 배부, 물품지원 등
3. 권익향상교육
-종사자의 권익증진 등을 위한 정보전달 및 교육진행
이상으로 독거노인 종합지원센터 배움터 바로가기 알아보았는데요. 더 궁금하신 점은 고객센터 1661-2129 번으로 문의하세요. 업무시간은 평일 : 09:00~18:00 / 토,일, 공휴일 휴무입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안내입니다. 복지로는 우리가족이 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알아보고 신청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 https://www
jeojslgke.tistory.com
경기도 일자리플랫폼 잡아바 (www.jobaba.net)
경기도 일자리플랫폼 잡아바 바로가기 안내입니다. 잡아바는 경기도의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고 경기도 지원금 정책을 안내하는 사이트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기도 일자
jeojslgke.tistory.com
엠세이퍼 홈페이지 (www.msafer.or.kr)
엠세이퍼 홈페이지 바로가기 안내입니다. 엠세이퍼는 명의도용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국민 사이트인데요. 내 명의로 휴대폰이나 유료 방송등에 가입하지 못하도록 가입제한을 하거나 가입
jeojslgke.tistory.com